본문 바로가기

안드로이드 튜토리얼 목록/2.스튜디오 설치및 구동

10. 기존프로젝트로 에뮬레이터 구동하기.



오늘은 어제 만들었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에뮬레이터를 구동해볼까해요.

무슨이유로?

보통 앱개발자라고 해서 수많은 휴대폰과 태블릿을 소유하진 않잖아요?

저같은경우는 레이아웃 (UI) 점검용도 차원으로 쓰고있습니다.

그외것은 휴대폰에서 테스트하구요.

물론 에뮬레이터에 제공하는것들.. 신뢰하지않습니다.

제가 넥서스5를 같고있지만.. 실제적으로 디자인 배치를 하면.. 안맞습니다.

그냥 그정도 해상도에선 이정도쯤 표현되겠구나.. 라는 짐작정도?

완전히 안맞는건아니고 약간 안맞습니다.

케이스도 유격이 약간 안맞으면 전체적으로 불안정해보이잖아요?

그거랑 비슷한 느낌이에요.


에뮬레이터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하시는분들.. 신뢰하지마시고요.

가벼운것들만 테스트하세요.










위와같이..
(Tools -> Android -> AVD Manager) 를 클릭합니다.






"Create Virtual Device"를 클릭합니다.







왼쪽부터 빨간박스를 참고해서 클릭합니다.
"Next"를 클릭합니다.









사용자마다 위 내용이 달라질수도있습니다만..

설명을 드리면  어떻게 사용해야할지 이해가 가실겁니다.

왼쪽은 에뮬레이터가 사용할 운영체제입니다. 

만약 롤리팝 x86을 선택해서 사용하고싶다면.. "Download"가 보이시죠?

인스톨이 안된상태기때문에 인스톨을 해야합니다.







"Download" 클릭하면 위와같이 팝업창이 뜨면서 해당 운영체제를 다운받습니다.







다운로드가 다됬으니 "Finish"를 클릭합니다.






위와같이 설치가됬네요.

저는 주로 롤리팝 x86_64를 선택해서 구동합니다.딱히 의미는 없고요. 






그리고 주의할점은..




HAXM 을 설치하라고 뜹니다.

메인보드와 씨퓨에서 가상화지원을 해야합니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omacros&logNo=220630035287




가상화 확인 및 바이오스설정은 여기서 확인하는게 낫지싶습니다.


참고로 지식인 활동으로 원격을 지원하면서 가상화 관련 케이스를 여럿봤었는데요.

윈도우7 윈도우 사용자분들중에 서비스팩이 설치가안된컴퓨터에서는

하드웨어적으로 지원을 해도 에뮬레이터가 제대로 구동이안된다는점.. 참고하세요.

서비스팩을 설치한후에 시도하시기바랍니다.






저도 위블러그를 참고해서







돌려봤습니다.





아무튼..


"install Haxm"을 클릭합니다.





구동가능한 메모리를 시스템메모리에 맞게 자동으로 설정해줍니다.
"Next"클릭합니다.









설치가 됬습니다. "Finish"클릭합니다.









팝업창이 닫혀도 여전히 뜹니다. 일단 현재 창을 닫습니다.







아래를 순차적으로 다시 클릭합니다.








이번에는 HAXM을 설치하라는 문구가 사라졌네요. "Next"클릭합니다.








위에 식별자를 쓰시고(전 기본값으로..) "Finish"클릭합니다.











위와같이 에뮬레이터가 생성됬습니다. 우측 재생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스튜디오가 AVD를 실행하는 상황입니다.









간혹 백신에서 탐지되서 저렇게 뜰수도있습니다.(백신마다 다릅니다.)
"허용"클릭하시면됩니다.
그외내용은 해당 프로그램회사에 문의바랍니다.







구동됬습니다. "GOT IT"클릭합니다.






이제 스튜디오로 프로젝트를 에뮬레이터에 구동해보겠습니다.










재생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연결됀 디바이스중에 에뮬레이터가 보입니다.
"OK"클릭하거나 위 목록의 항목을 더블클릭합니다.









빌드중입니다.







위와같이 구동되었습니다.









앱을 정지시켜보겠습니다.
빨간색 정지버튼을 클릭합니다.








위와같이 앱이 종료됬습니다.









일단 다시 구동해보겠습니다.









만약 코드를 교체했거나 레이아웃을 수정했다면.. 
정지를 클릭하고 실행을 클릭하지마시고(2번..)

위 빨간위치의 버튼을 클릭하면
지가 알아서 정지후에 실행합니다.








에뮬레이터를 끄려면 빨간위치를 클릭합니다.










스튜디오가 실행해서 에뮬레이터에 구동중인 상황에서
에뮬레이터를 꺼버리면 위와같이 앱이 구동되지않은 모습으로 변합니다.











만약 에뮬레이터는 냅두고 스튜디오만 종료하고싶다면.. 






위처럼 정지버튼을 클릭하고 , 스튜디오를 끄면됩니다.








만약 , 에뮬레이터가 구동되지않은 상황에서 프로젝트에서 실행해서 앱을 자동으로 구동하고싶다면..








위와같이 연결됀 디바이스목록이 아닌,
유효한 가상디바이스 목록에 항목으로 표시됩니다. 더블클릭하세요.












에뮬레이터 구동이 완료되면 ,
스튜디오 측에서 자동으로 앱을 실행시키고,
앱실행이 완료되면 
왼쪽 녹색 팝업창으로 표시됩니다.






위와같이 앱이 정상적으로 구동됬습니다.

고생하셨세요~


공감과 리플 이웃추가는 글쓴이에게 큰힘이 됩니다. 



랜공사 찾으시나요? 더블넷입니다!

https://더블정보통신.kr/